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것이 바로 “스드메를 따로 할까, 패키지를 고를까?”입니다. 결혼 준비의 첫 단계이자 가장 큰 비용이 들어가는 항목 중 하나인 스드메(스튜디오, 드레스, 메이크업)는 예식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 요즘은 개별 계약 외에도 스드메, 예식장, 웨딩플래너까지 포함된 올인원 패키지가 많아 선택지가 다양하지만, 그만큼 예산과 만족도에 대한 고민도 늘고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스드메 단독 계약과 올인원 패키지의 비용 차이, 구성, 장단점을 상세히 비교해 예비부부의 선택을 돕고자 합니다.
스드메 개별 계약: 자유도 높지만 준비는 까다롭다
스드메는 ‘스튜디오+드레스+메이크업’의 줄임말로, 보통 웨딩 준비의 첫 걸음으로 여겨집니다. 개별 계약을 하면 각 업체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취향 반영이 자유롭고, 퀄리티도 비교적 높습니다.
- 스튜디오 촬영: 70만 원 ~ 150만 원
- 드레스 대여(본식 + 촬영): 100만 원 ~ 300만 원
- 메이크업(신랑신부): 30만 원 ~ 60만 원
- 총합: 약 200만 원 ~ 500만 원 수준
장점:
- 원하는 업체를 직접 고를 수 있어 만족도가 높음
- 퀄리티 중심 선택 가능
- 가격 협상, 커스터마이징 가능
단점:
- 업체 섭외, 계약 등 모든 과정을 직접 관리
- 정보 부족 시 예산 초과 우려
- 서로 다른 업체 간 조율 필요
올인원 패키지: 간편하고 효율적이지만 유연성은 낮다
올인원 패키지는 웨딩플래너를 중심으로 스드메, 예식장, 한복, 혼주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의 핵심 요소를 한 번에 계약하는 방식입니다.
- 기본 패키지: 150만 원 ~ 250만 원
- 예식장 포함 패키지: 500만 원 ~ 900만 원
- 총합: 200만 원 ~ 1000만 원
장점:
- 일정, 업체 섭외 등 대행으로 시간 절약
- 전문 컨설팅으로 실수 줄이기
- 사은품, 이벤트 등 혜택 풍부
단점:
- 업체 선택 자유도 낮음
- 추가 비용 발생 가능
- 컨설턴트에 따라 만족도 달라짐
어떤 선택이 더 유리할까? 상황별 추천 전략
이런 경우 스드메 개별 계약 추천
- 드레스 퀄리티가 가장 중요할 때
- 특정 스튜디오 희망 시
- 직접 관리하며 고르고 싶은 경우
이런 경우 올인원 패키지 추천
- 준비 시간 부족한 직장인 커플
- 빠른 준비가 필요한 상황
- 전체 비용과 일정 한 번에 관리하고 싶을 때
스드메와 올인원 패키지는 각각의 강점과 단점이 분명하며, 어떤 선택이 더 좋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. 결혼 준비에 시간과 여유가 있고, 직접 고르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면 개별 계약이, 빠르고 효율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면 올인원 패키지가 유리합니다. 가장 중요한 건 예산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한 후,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준비를 시작하는 것! 예비부부만의 스타일에 맞는 현명한 선택으로 후회 없는 결혼식을 완성해보세요.
'결혼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독주택 vs 아파트, 신혼부부 선택은? (집값, 단독주택, 아파트) (1) | 2025.07.05 |
---|---|
미리 체크하자! 신혼부부를 위한 손없는날 추천 (2025, 2026, 2027) (0) | 2025.06.24 |
혼인신고 전 체크해야 하는 것과 혼인신고 절차 및 필요서류 (2025 최신판) (0) | 2025.05.30 |
결혼 후 1년 계획표 정리 (분기별 체크리스트 & 실천 가이드) (7) | 2025.05.30 |
요즘 결혼은 어떻게 달라졌나 (과거 vs 현재, 비용 기준) (1) | 2025.05.30 |